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6 최저임금 확정! 시간당 10,320원 인상률·적용시기 총정리

by minxuan2 2025. 7. 13.
반응형

2026년 최저임금이 1만320원으로 확정됐어요. 17년 만에 합의로 결정된 만큼 그 의미도 남다른데요. 인상률, 배경, 영향까지 하나하나 정리해드릴게요. 정책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고 싶은 분들께 도움이 될 정보입니다.

2026최저임금 썸네일

2026 최저임금 확정 금액과 인상률

2026 최저임금 계산기 사진2026 최저임금 동전사진 동전 사진

2026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320원으로 최종 확정됐습니다. 이는 2025년 최저임금 10,030원보다 290원 오른 금액으로, 인상률은 2.9%입니다.

  • 월 환산액(209시간 기준): 2,156,880원
  • 인상률 비교:
    • 2025년: 1.7%
    • 2021년: 1.5%
    • 2026년: 2.9%

이번 인상률은 최근 몇 년과 비교하면 다소 높은 편이지만, 여전히 과거 정부 첫 해 평균보다는 낮은 수준입니다.


17년 만의 노·사·공 합의, 의미는?

2026 최저임금 협상2026 최저임금에 합의한 사진2026 최저임금 월급 들어오는 사진

이번 최저임금 결정은 2008년 이후 17년 만에 근로자·사용자·공익위원이 함께 합의한 결과입니다. 1988년 제도 도입 이후 여덟 번째 합의 사례입니다.

민주노총 위원이 퇴장한 상황에서도 한국노총, 사용자위원, 공익위원 간 타협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사회적 대화의 힘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최저임금위원회 이인재 위원장은 “우리 사회가 대화를 통해 갈등을 조율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결정”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결정 과정과 노사 간 이견

최저임금위원회는 총 12차례 회의를 거쳐 심의를 마무리했습니다.

  • 공익위원 심의 촉진구간: 1.8% ~ 4.1%
  • 10차 수정안:
    • 노동계: 10,430원
    • 경영계: 10,230원
  • 최종 합의: 10,320원

민주노총은 “지나치게 낮다”며 퇴장했고, 한국노총도 “생활비에는 부족하다”고 밝혔습니다. 사용자 측 역시 “동결이 필요했지만 현실을 고려해 합의했다”고 전했습니다.


정부별 첫 해 인상률 비교

정부 인상률
김영삼 8.0%
김대중 2.7%
노무현 10.3%
이명박 6.1%
박근혜 7.2%
문재인 16.4%
윤석열 5.0%
2026년 2.9%


영향 대상 및 적용 시기

카페에서 일하는 알바생배달 일하는 청년 사진편의점에서 일하는 젊은 청년 사진

  • 근로자 영향 추정 (고용형태 기준): 78만 2천 명 (4.5%)
  • 경제활동인구 기준: 290만 4천 명 (13.1%)
  • 적용 시점: 2026년 1월 1일
  • 고시 시점: 2025년 8월 5일까지
  • 이의 제기 가능: 고시 전까지 가능하나, 지금까지 재심의 사례는 없음


주의사항 및 참고사항

  • 209시간은 주휴수당 포함 기준
  • 수당, 상여금 포함 여부에 따라 실제 지급액은 다를 수 있음
  • 최저임금 미준수 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
  • 전 업종 동일 적용, 업종별 차등 없음


자주 묻는 질문(FAQ)

Q1. 월급이 220만 원인데 최저임금보다 많은 건가요?
→ 기본급만으로 판단하긴 어렵습니다. 월 209시간 기준 2,156,880원 이상이 되어야 하며, 상여금이나 수당 일부는 최저임금 산입범위에 포함됩니다.

Q2. 주휴수당 포함인가요?
→ 네. 시간당 10,320원은 주휴수당 포함 기준입니다.

Q3. 재심의로 바뀔 가능성은 없나요?
→ 이론상 가능하지만, 지금까지 한 번도 재심의가 이뤄진 적은 없습니다.


마무리하며

2026년 최저임금 결정은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사회적 대화를 통한 합의라는 상징성과 함께,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도 많다는 사실도 보여줍니다. 앞으로도 민생경제를 위한 정책 흐름을 주의 깊게 지켜보면서, 현장의 목소리가 더 잘 반영되길 바랍니다.